미국, 인도를 '배신자' 낙인찍고 50% 관세 폭격

이번 50% 관세는 지난 4월 26% 관세 부과 후 5차례 협상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농산물 관세 인하와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 문제에서 양국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단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상호관세 25%에 보복성 관세 25%를 더해 총 50%를 예고했으며, 이는 미국이 부과한 관세 중 최고 수준이다.
고율 관세의 직격탄은 의류, 보석, 신발, 스포츠 용품, 가구, 화학제품 등 다양하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 등 일부 예외는 적용된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9월 17일 이전 출항 품목에 3주간의 유예 조치를 허용했다. 철강, 알루미늄 등 이미 고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은 제외된다.
인도 수출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특히 수천 개의 중소 수출업체와 일자리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 인도 상무부는 피해 수출업체 재정 지원과 함께 중국, 중남미, 중동 등으로의 수출 시장 다변화를 장려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인도의 대미 수출 870억 달러 중 약 55%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하며, 베트남, 방글라데시, 중국 등 경쟁국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전망한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50% 관세 지속 시 인도의 GDP 성장률이 6.5%에서 6%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기적으로는 스마트폰, 전자제품 분야에서 중국의 대체 생산지로 부상하던 인도의 매력도가 약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이번 강경한 관세 조치가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 원유의 주요 구매국인 중국에는 동일한 제재가 가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러한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피터 나바로 전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롯한 미국 고위 관계자들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늘려 우크라이나 전쟁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
인도 고위 무역 관리는 "트럼프가 다 망쳐놨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물러나기 전까지 양국 관계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번 미국의 강경 조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파트너인 인도와의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하며, 국제 정세의 복잡성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 newsnetpaper.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